반응형
전
약을 복용 중이라면 의료진에게 알리자.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 약을 복용중이라면 특히 유의할 것!)
공복상태로 가자.
혈액검사 때문이다. 특히나 내시경의 경우는 더 그렇다.
검사전 흡연은 자제한다.
흡연을 한 뒤 혈압이 더 높게나오기 때문이다.
수면내시경을 받기로 되어있다면 보호자를 동반하자.
내시경이 끝나고 바로 운전하기에는 졸음이 오는 상태로 졸음운전만큼 위험하기 때문이다.
중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는 내용은 물론 다른 이상증세가 걱정된다면 알린다.
가족력부터 현재 앓고 있는 병명과 치료내용, 음식과 약물 알레르기, 이전 검진에서 있었던 특이사항 등을 알려주면 의료진이 건강검진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내시경을 하는데 수면내시경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식호흡을 하면서 긴장을 최대한 풀어야한다. 그리고 대장내시경을 했다면 최소 30분에서 1시간은 누워있어야 한다. 내시경을 하면서 조금씩 장이 움직였기 때문에 일어나서 바로걸으면 탈장(?)의 고통을 체험할 수 있다.
혈액검사 뒤에는 채혈한 부위를 문지르지말고 눌러줍니다.
후
수면내시경을 했다면 수면상태에서 깨어났어도 15분에서 30분은 더 쉬어줘야한다. 약기운이 돌기 때문에 절대 운전은 삼가합니다.
건강검진 결과 이상이 있다면 의료진이 알려줄 것이다. 만약 궁금하다면 의료진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다.
반응형
'생활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치약을 써야할까? (불소, 계면활성제, 연마제) 그리고 기능성?치약 (0) | 2023.07.07 |
---|---|
잇몸은 회복할수있을까...? (F.잇몸관리하는 TIP 6) (0) | 2021.06.16 |
건강검진 받기 전 읽으면 좋은 글 (0) | 2018.07.06 |
활인심법 맨손체조 9가지. (0) | 2017.10.24 |
동의보감식 경락마사지 (0) | 2017.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