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019년이 일주일 남았습니다.
제작년부터 참으로 많은 부동산정책들이 쏟아져나왔고,
갖은 규제로 집값을 잡아보려했지만,
정부의 정책과는 반대로 가버린 일부(서울경기세종 등) 부동산시장.
누군가는 실패라고하고, 누군가는 일부(대부분의 지방)을 보며 성공이라고합니다.
결국 보는 시각이나 자신이 거주 혹은 투자한 지역에 따라 다를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구구절절 말하는 재주는 없어서 아주 간단하게 이야기 하려고합니다.
2020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것인가?
지역별편차가 있겠지만 회복장이 아닐까 합니다.
미국연준의 금리인하 시사가능성등으로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부분 해소되었습니다. 이러한 금리인상불안은 소비심리위축등을 해소할것이고 사람들의 지갑을 열게합니다.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떨어지는 집값(서울경기세종 일부지역제외)을 보며 떨어지는 칼날이 아닌가하며 떨던 사람들도 이 이상 집값이 떨어지지않는다는 판단을 하게될것입니다.
저금리 기조로 인한 서울집값상승.
그리고 서울부동산에 대한 규제정책들로 갈곳잃은 유동자금들이 규제지역을 벗어나 지방 등으로 몰리며 대한민국 대부분의 부동산 시장이 회복기에 들어설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서울의 강남, 마용성 등 일부지역은 향후전망이 무색한 우상향 시장일 것입니다.
이유는 다들 아시다시피 한정된 공급과 공급을 넘어선 실수요자들 때문입니다.
일부 시장은 전고점을 돌파할것이고 또 일부는 전고점과 비슷할것입니다.
결국 지난 3년간의 하락장의 대부분을 회복하는 회복장이 될것입니다.
언제 중국발 경제위기나 혹은 다른 경제위기가 닥칠지 모릅니다.
하지만 별 다른 위기가 없는 한 2020년 대한민국의 부동산은 이전 3년에 비하면 분명한 회복기이며 상승기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매도자에게 등기이전은 언제받아야할까? (0) | 2020.04.27 |
---|---|
GTX-A 는 실패한다고? (0) | 2020.01.22 |
재개발의 진행과정 (4단계-19단계) (0) | 2019.10.08 |
계약일에서 잔금일(입주일)까지는 몇 개월 이나 가능할까? (0) | 2019.08.16 |
부동산계약서 작성, 잔금 입금전 입주시키면 안되는 이유 (0) | 2019.08.14 |